에듀K
  • 홈
  • 메뉴 닫기
  • 글작성
  • 방명록
  • 환경설정
    • 분류 전체보기 (154)
      • 고등학교 (11)
      • 대학교 (68)
      • 교사·교육자 (18)
      • 결혼·육아 (28)
      • 취업 (29)
  • 홈
  • 태그
  • 방명록
교사·교육자

70대 경비원 찌른 11살, 촉법소년은 무적인가?

70대 경비원을 칼로 찌른 11살 소년. 경비원은 소년과 친구들에게 아파트 입구 대신 다른 곳에서 놀라 말했습니다. 격분한 소년은 경비원에게 욕설을 퍼부었죠. 경비원은 반말하지 말라며 응수했고, 소년은 칼에 찔리고 싶냐고 협박했습니다. 소년은 가방에서 흉기를 꺼내 찔렀습니다. 다행히 큰 부상은 입지 않았지만 곧 경찰이 들이닥쳤습니다. 소년의 친구는 경비원에게 폭행을 당했다고 맞신고했고, 소년도 아동학대를 주장했습니다. CCTV 확인결과 아동학대는 없었습니다. 소년은 특수상해죄로 법원에 송치되었지만, 만 14세 미만이라 형사처벌 대상이 아닙니다.  가해자인 촉법소년은 법적 처벌을 받지 않습니다. 무려 흉기로 사람을 찌르는 흉악한 범죄를 저지르고도 말이죠.  법원행정처는 13세 소년이 형사책임 능력을 갖췄다..

2024. 10. 22. 14:02
교사·교육자

용역 제안서 평가위원 수당, 얼마나 줄까?

제안서 평가위원 이란?  제안서 평가위원은 지자체, 공기업 등에서 실행하는 용역사업을 심사하는 역할을 합니다. 다리를 놓는 건설사업, 축제를 여는 문화행사, 시설물을 관리하는 사업 등 분야는 다양합니다. 어떤 용역 사업을 하는데 있어 공정함을 기하기 위해 평가위원을 모집하는 것이죠. 제안서 평가위원 모집 공고는 하이브레인넷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네이버에서 검색해 접속하면 됩니다. 공고 시작일, 마감일, 자격조건 등 상세하게 나와있으니 수시로 확인하고 지원하면 됩니다. 최근 1년간 진행된 평가위원회가 무려 3,700건에 달합니다. 자격조건만 맞다면 수시로 지원할 수 있죠. 물론 아무나 지원할 수 있는건 아닙니다. 평가위원 수당 지급기준평가위원 수당은 20~45만원 사이에 책정되어 있습니다. 오프라인 평..

2024. 6. 27. 16:20
교사·교육자

전국 12개 교대 초등교원 임용경쟁시험 합격률 알아보기

교대 2018 2019 2020 서울교대 64.20% 56% 53.5% 경인교대 68.7% 62.4% 55.8% 춘천교대 75.4% 61.3% 60.6% 청주교대 82.8% 70.6% 67.2% 공주교대 69.5% 61% 56.3% 한국교원대 83.9% 70.3% 69.1% 대구교대 73.2% 73.5% 70.9% 전주교대 83.8% 78.6% 55.4% 진주교대 82.7% 78.9% 69.9% 부산교대 67% 68.3% 66.3% 광주교대 84% 71.9% 62.9% 제주대 69.6% 59.1% 72.2% ▶임용률 추이 전국에서 초등교원을 양성하는 기관은 총 12개 대학이다. 10개의 교대와 2개 일반대 초등학교과 등이 있다. 교대 임용률은 2018년 74.4%, 2019년 67.3%, 2020년 62..

2022. 2. 19. 01:04
교사·교육자

비서울대 출신 서울대 교수 프로필 : 경영대학 경영학부

인사조직 전공 이정연 교수는 연세대학교 경영학 학사, 인디애나 대학교 경영학 석사·박사를 졸업했다. 박사학위 취득 후 미국 캔자스 대학교에서 약 10년간 재직했으며, 경영대학 박사과정 학생회 멘토 표창을 3차례 받았다. 2015년 서울대학교로 자리를 옮겨 인사관리와 평가/보상을 강의하고 있다. 생산과 서비스운영 전공 임재현 교수는 연세대학교 산업공학과 학사, 미국 노스웨스턴 대학 산업공학/경영과학 석사, 박사를 졸업했다. 군대는 공군 부사관으로 복무했고, 대학 졸업 후 애널리스트로 활동했다. 박사학위 취득 후 일리노이 주립대학(UIUC) 교수로 재직하다, 2017년 서울대학교에 부임했다. 생산서비스 운영, 경영과학, 프로세스 혁신 등을 강의하고 있다. 주요 연구 분야는 물류 네트워크의 최적화와 리스크 관..

2021. 12. 14. 14:06
교사·교육자

현직 서울시·광역시 교육감 프로필(학력)

서울특별시 교육감 조희연 서울시 교육감 학력은 풍남초등학교, 전주북중학교, 중앙고등학교,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연세대학교 사회학 석사·박사를 졸업했다. 나이는 1956년 11월 8일생이며, 고향은 전북 정읍이다. 군대는 병역면제를 받았다. 결혼해 슬하에 2남을 두고 있다. 대학시절 유신헌법을 반대하는 유인물을 배포한 혐의로 징역 2년을 선고받아 징역을 살았지만, 2013년 재심에서 무죄가 확정되었다. 졸업 후 성공회대학교 교수로 재직하면서 박원순 전 서울시장과 참여연대 창립을 주도했다. 2014년 서울시 교육감 후보로 나서 문용린과 고승덕 두 후보를 제치고 당선되었다. 2018년에는 재선에 성공하였다. 부산광역시 교육감 김석준 부산시 교육감의 학력은 부산고등학교, 서울대학교 사회학 학사·석사·박사를 졸업..

2021. 12. 11. 20:55
교사·교육자

EBS i 고등 정치와 법·경제 강사 프로필 알아보기

정치와 법 최적 선생님은 1979년 6월 19일, 제주 출생이다. 학력은 오현고등학교 졸업 후 성균관대학교를 입학했다. 성균관대학교에서 법학, 경영학, 경제학을 공부했고,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에서 일반사회를 전공해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EBS, 이투스(ETOOS, 강남구청 인터넷 수능방송 강사로 활동하고 있다. 학생들의 이목을 끄는 강의로 인기가 높다. 현장 분위기와 학생에 따른 맞춤형 강의로 이해도를 높이는 강사다. 특히 비유를 들어 설명해 재미를 더한다. 강사로 활동하면서 락밴드 보컬을 하고 있다. 락음악에 대한 조예가 깊고 자부심도 강하다. 김민정 선생님은 성신여자대학교 사회교육과를 졸업했다. 또 서울대학교 사회교육과(일반사회 전공)에서 석사학위를 받았고, 박사과정을 밟고 있다. 현 EBSi..

2021. 12. 9. 00:13
교사·교육자

EBSi 고등 한국지리·세계지리 강사 프로필 정리

한국지리 이진웅 선생님은 1981년 11월 27일생이다. 학력은 염창중학교, 마포고등학교, 고려대학교 지리교육학과를 졸업했다. 임용고시 합격 후 광남고등학교와 석관고등학교를 거쳐, 현재 둔촌고등학교 교사로 재직하고 있다. 2016년부터 EBSi 강사로 활동하고 있으며, 한국지리와 세계지리를 강의하고 있다. 강의 때 파워포인트를 자주 활용하고, 학생들에게 쉽게 이해시키려 다양한 시도(?)를 한다. 고등학교 2학년 때까지 놀다가, 고3 때 마음을 잡고 공부를 했다고 한다. 본인 피셜로 1년 동안 500권이 넘는 문제집을 풀었다고 한다. 임용고시(서울) 합격자 4명 중, 커트라인에 걸친 점수로 패스했다. 군대는 육군 조교 출신이며, 고려대학교 재학시절 인기가 많았다고 한다. 결혼해 아들을 키우고 있지만, 블랭..

2021. 12. 8. 19:02
교사·교육자

비서울대 출신 서울대 교수 정리 : 사학·철학·종교학·미학과

※ 학부 졸업 기준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서울대학교 국사학과에는 3명의 비서울대 출신 교수가 있다. 김건태 교수는 성균관대학교 사학과에서 학사·석사·박사 학위를 받았다. 성균관대학교 박물관 학예연구사와 동아시아학술원 교수를 역임했다. 2009년 서울대학교 부임했다. 전공은 한국근세사로 조선시대 농업과 인구의 역사를 연구하고 있다. 일기, 추수기, 양안을 이용하여 조선시대 농업 기술과 생산성, 농업 경영을 연구하고, 호적과 족보를 통해 결혼과 재혼, 출산 등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존 디모이아(John P. Dimoia) 교수는 템플대학교 학사, 조지타운대학교 석사, 프린스턴대학교 석사·박사를 졸업했다. 싱가포르국립대학교 교수를 역임했으며, 2018년 서울대학교에 부임했다. 전공은 한국 근현대사와 과학사를 ..

2021. 12. 7. 00:01
교사·교육자

비서울대 출신 서울대 교수 : 불어불문·독어독문·서어서문·언어학과

※ 학부 졸업 기준 서울대 불어불문학과 서울대 불어불문학과에는 1명의 비서울대 출신 교수가 있다. 김정희 교수는 액스마르세이유 1 대학(Université D'Aix-Marseille I) 불어불문학과 학사, 파리 3 대학 불어불문학과 석사·박사를 졸업했다. 2001년 서울대학교에 부임했으며, 불어문화권연구소장을 역임했다. 전공은 프랑스 문화와 중세 불문학이다. 저서로는 등이 있다. 번역서로는

2021. 12. 6. 22:40
교사·교육자

비서울대 출신 서울대 교수 : 국어국문·중어중문·영어영문 학과

※ 학부 졸업 기준 서울대 국어국문학과 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는 총 4명의 비서울대 출신 교수가 있다. 문숙영 교수는 제주대학교 국어교육과(학사),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석·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박사학위 취득 후 서울대학교 BK21사업단 연구교수와 아주대학교 기초교육대학 강의교수를 역임했다. 전공은 한국어학(문법론)이며, 2010년 서울대학교에 부임했다. 서철원 교수는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학사·석사·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박사학위 취득 후 경남대학교 국어교육과와 성균관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를 역임했다. 전공은 한국문학(고전시가)이며, 2013년 서울대학교에 부임했다. 조현설 교수는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학사, 동국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석사·박사를 졸업했다.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연구교수를..

2021. 12. 6. 21:41
교사·교육자

역대 부산시 교육감 프로필(대학·학과) 정리

제1대 부산시 교육감 오복근은 1925년 경남 진주 출신이다. 학력은 동국대학교 정치학과를 졸업했다. 졸업 후 진명여자고등학교 교사를 지냈고, 이후 동국대학교 교수를 역임했다. 1964년 부산 직할시 초대 교육감에 임명되어 1968년까지 역임했다. 제2대 부산시 교육감 이윤근은 1918년생이다. 학력은 범어사 불교전문강원을 졸업 후 일본 동양대학(東洋大學) 예과(豫科)를 졸업했다. 1968년부터 1972년까지 부산시 교육감을 지냈고, 이후 부산여자대학(신라대학교) 학장을 역임했다. 제3대 부산시 교육감 홍순철은 1923년생이다. 재임기간은 1972년부터 1976년까지다. 제10~11대 부산시 교육감 정순택은 홍순철의 사위다. 제4~5대 부산시 교육감 구용현은 1924년 6월 19일 경남 함안에서 태어났다..

2021. 12. 6. 00:08
교사·교육자

EBS i 고등 한국사 선생님 프로필(대학·나이) 정리

이지은 선생님은 서강대학교 역사교육학과(석사)를 졸업했다. EBSi에서 한국사와 세계사를 강의하고 있으며, 청심국제중·고등학교와 경기과학고등학교 교사를 역임했다. EBS 프리미엄 인터넷 강사를 비롯해 수박씨닷컴, 공부와락, KT에뉴 인터넷에서 학생들을 가르쳤다. 이지은의 세계사, 이지은 한국사, 이지은의 세계사 101가지 개념완성 등의 강의를 운영하고 있다. 지루하기 쉬운 역사 수업을 시대의 흐름에 따라 설명해 이해를 돕는 이지은 선생님이다. 또 주요 사건들의 인과관계를 통해 역사에 대한 재미를 더해주는 강사다. 김준우 선생님은 중앙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했다. 현 EBSi 강사이자, 신일고등학교 교사로 재직하고 있다. EBS 강사 뿐만 아니라 라디오 방송을 통해 역사의 재미를 더해주는 김준우 선생님이다. ..

2021. 12. 5. 21:11
교사·교육자

역대 경기도 교육감 학력(대학·학과) 정리

제1~2대 경기도 교육감 홍락선은 1964년부터 1969년까지 재임했다. 제3~4대 경기도 교육감 신능순은 1972년부터 1980년까지 재임했다. 1917년 경기 부천에서 태어났다. 학력은 인천고등학교와 연희전문학교를 졸업했다. 일제 강점기 강제 징용을 당했다가, 광복 후 돌아왔다. 이후 육군사관학교에 입학해 육군 장교로 복무했고, 문화재관리국장과 국정교과서 사장을 거쳐 경기도 교육청 교육감을 지냈다. 제5대 경기도 교육감 이준경은 1980년부터 1983년까지 재임했다. 제6대 경기도 교육감 황철수는 1983년부터 1987년까지 재임했다. 1926년 3월 10일 경기도 시흥 출신으로, 서울대학교 사범대학을 졸업했다. 졸업 후 서울시 교육청 교육연구원장, 주일대사관 수석교육관, 경기고등학교 교장 등을 거쳐..

2021. 12. 5. 17:43
교사·교육자

역대 서울시 교육감 학력(대학·학과) 정리

초대 김영훈 서울시 교육감은 1905년 2월 22일생이다. 평안북도 운산군에서 태어났고, 일본 히로시마 고등사범고등학교를 졸업했다. 졸업 후 교사로 재직하다 조선총독부로부터 당진군과 예산군 군수로 임명되었다. 1950년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부설고등학교 교장을 맡았고, 1956년 초대 서울시 교육감으로 선출되었다. 제2대(1960~1961년) 정의택, 제3대(1961~1964년) 박현식, 제4대(1964~1965년) 김원규, 제5대(1965~1969년) 최복현, 제6대(1970~1974)·제8대(1974~1977년) 하점생, 제9대(1977~1981년) 이창갑, 제10대(1981~1985년) 구본석. 제11대(1985~1988년) 최열곤, 제12대(1988~1992년) 김상준, 제13대(1992~1996년..

2021. 12. 5. 00:10
교사·교육자

역대 교육부장관 출신 대학·학과 정리

50대 교육부 장관 김신일은 1941년 2월 27일, 충부 청주 출생이다. 학력은 주성초등학교, 청주남중학교, 청주고등학교를 졸업했다. 대학은 서울대 교육학 학사·석사, 피츠버그 대학교 교육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여자대학교 교수를 역임하다 1980년 서울대학교 교육학과로 자리를 옮겼다. 서울대에서 정년 퇴임한 후 명예교수로가 되었다. 2006년 9월 노무현 정부 하에 교육부총리로 임명되었다. 2008년 로스쿨 선정 관련 논란으로 사퇴했다. 49대 교육부 장관 김병준은 1954년 3월 26일 경북 고령 출신이다. 학력은 대구남산초등학교, 대구상업고등학교를 졸업했다. 대학은 영남대학교 정치학 학사, 한국외국어대 정치학 석사, 델라웨어 대학교 정치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박사학위 취득 후 귀국해 강원대학..

2021. 12. 2. 19:57
  • «
  • 1
  • 2
  • »

전체 카테고리

  • 분류 전체보기 (154)
    • 고등학교 (11)
    • 대학교 (68)
    • 교사·교육자 (18)
    • 결혼·육아 (28)
    • 취업 (29)
애드센스 광고 영역
Powered by Privatenote Copyright © 에듀K All rights reserved. TistoryWhaleSkin3.4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