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교 / / 2023. 4. 3. 00:41

서울대 반도체 전공 알아보기│취업 잘 되는 학과│교수 학력 정리

반응형

서울대학교 연합전공 인공지능반도체공학과는 여러 학과 간 연계를 통해 운영되고 있다. 전기·정보공학부, 기계항공공학부, 원자핵공학과, 재료공학부, 컴퓨터공학부, 화학생물공학부, 물리천문학부, 화학부, 융합과학부 교수 등이 강의하고 있다.

 

최근 반도체 분야는 인재부족 현상을 겪고 있다. 이에 학예와 산업계의 우려가 합쳐져 반도체 전공이 신설되고 있다. 서울대는 여러 학과가 연계하여 학제 간 수업을 통해 반도체 전문가를 길러내고 있다. 이렇게 산학이 연계하여 반도체 전문가 양성에 열을 올리고 있지만 최초 합격자의 대규모 등록 포기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삼성전자와 연계된 연세대 시스템반도체공학과는 최초 합격자 모두(10명)가 등록하지 않아 23등까지 추가로 모집했다. SK하이닉스와 연계된 한양대 반도체공학과도 16명을 모집하는데 44명이나 등록을 포기했다. 대기업 취업이 보장되는 학과인데도 등록 포기현상이 나타나는 게 아이러니다.

 

그럼에도 반도체는 6G, 인공지능(AI), 자율주행자동차, 사물인터넷 등과 같은 미래산업의 핵심이다. 때문에 미국과 중국은 반도체 패권을 두고 힘겨루기를 하고 있고 그 사이에서 한국은 고래 싸움에 새우등 터질까 노심초사하고 있는 상황이다.

 

서울대는 반도체 전문 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반도체 인력을 찾는 기업은 많은데 대학 정원은 그 수준을 못 따라가고 있는게 현실이다. 특히 반도체 산업의 경쟁력을 높일 박사급 연구원을 구하는 게 가장 어렵다. 서울대 역시 반도체 관련 전공 박사과정은 수년간 미달되고 있다.

 

이에 학부 정원을 늘려 대학원 진학자 역시 증가시키는게 목표다. 우리나라는 대표하는 대학인 만큼 우수한 교수진이 즐비해 많은 기대를 모으고 있다.

 

전자·정보공학부
   학사   석사   박사 
권성훈 서울대 UC버클리
김성재 포스텍
김수환 서울대
김장우 코넬대 카네기멜론대
김재하 서울대 스탠포드대
김태환 서울대 일리노이주립대
신형철 서울대 버클리대
이종호 경북대 서울대
이혁재 서울대 퍼듀대
정덕균 서울대 UC버클리
심병효 서울대 일리노이대
기계공학부
   학사   석사   박사 
고승환 연세대 서울대 UC버클리
도형록 서울대 스탠포드대
윤병동 - 아이오와대
이동준 카이스트
미네소타대
이윤석 서울대 스탠포드대 MIT공대
원자핵공학과
   학사   석사   박사 
김곤호 한양대
위스콘신대
황용석 서울대
프린스턴대

 

재료공학부
   학사   석사   박사 
김상국 카이스트 포스텍 
 
김상범  서울대 스탠포드대 
이관형 서울대
주영창 서울대
MIT공대
한승우 서울대
황철성 서울대

 

컴퓨터공학부
   학사   석사   박사 
김지홍  서울대 워싱턴대 
유승주  서울대
이재욱 서울대 스탠포드대 MIT공대
하순회 서울대
캘리포니아대

 

화학생물공학부
   학사   석사   박사 
김재정  서울대 카네기멜론대 
김대형  서울대 일리노이대
박정원 포스텍 UC버클리

 

물리천문학부
   학사   석사   박사 
김도헌  연세대 메릴랜드대 
김창영  서울대 스탠포드대 
이규철 서울대
노스웨스턴대
이탁희 서울대
퍼듀대
전헌수 서울대 브라운대
차국린 서울대 캘리포니아대 스탠포드대

 

화학부
   학사   석사   박사 
홍병희  포스텍
김지환  서울대  스탠포드대
정연준 서울대 MIT공대
김경택 인하대 토론토대
임종우 포스텍 캘리포니아대

 

융합과학부
   학사   석사   박사 
안정호  서울대 스탠포드대 
전동석  서울대  미시간대

 

 

서울대 박사가 지방대 교수를 하는 이유

서울대 박사 서울대는 우리나라 최고 명문대학이다. 고등학교 성적이 최상위권에 들어야 겨우 갈 수 있는 대학이 바로 서울대학교다. 그 서울대학교를 졸업하고, 석사와 박사학위마저 취득했다

education9.tistory.com

반응형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