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교 / / 2023. 4. 10. 00:45

연세대 vs 고려대│반도체관련 학과 비교│취업률·교수진

반응형

▶ 연세대 시스템반도체공학과

연세대 시스템반도체공학과는 반도체와 이를 활용하는 시스템을 연구합니다. 2019년 설립되었고 2021년 첫 신입생이 입학했습니다. 시스템반도체 육성을 위해 삼성전자와 연세대가 협력해 교원 확보와 교육 인프라를 갖추고 연구에 매진하고 있습니다.

 

2023년 2학기부터 석사과정 30명, 박사과정 10명을 선발합니다. 인력 양성을 위한 산학협력을 학부에서 대학원으로 확대한 것입니다. 선발된 대학원생들은 차세대 시스템반도체 분야 연구를 하며 졸업과 동시에 삼성전자 취업이 보장됩니다. 2024학년부터는 학부 정원을 50명에서 100명으로 증원합니다.

 

  학사 석사 박사
정성욱 교수 연세대 일리노이대
강호규 교수 한양대 카이스트 스탠포드대
양준성 교수 연세대 텍사스대
장지원 교수 서울대 텍사스대
박관서 교수 포스텍 서울대
김건환 교수 -
송두헌 교수 서울대
허운행 교수 - 조지아공과대
고대홍 교수 서울대 스탠포드대
조만호 교수 연세대
노원우 교수 연세대 서던캘리포니아대
김한준 교수 서울대 프린스턴대
정의영 교수 고려대 스탠포드대

 

▶ 고려대 반도체공학과

고려대 반도체공학과는 SK하이닉스와 협력해 설립한 학과입니다. 2020년 설립해 2021년 3월 첫 신입생을 받았습니다. 반도체공학과는 반도체 설계, 소자, 공정, 시스템, 소프트웨어 등 반도체 분야 기초 전공에 대한 연구를 진행합니다. 더불어 인공지능, 데이터사이언스 영역 등 다양한 이론 및 실습을 하고 있습니다.

 

계약학과로 학생들은 학비 전액을 면제 받는다. 더불어 생활비 장학금을 지원받습니다. 학부과정 동안 캘리포니아 주립대학 방문학생 프로그램 지원, 우수한 산학 연계 교과과정, 창업 관련 세미나 및 교육프로그램 지원 등 강의 외 프로그램 지원, 졸업 후 SK하이닉스 취업이 보장됩니다.

 

  학사 석사 박사
유현용 고려대 스탠포드대
신창환 고려대 캘리포니아대
석준희 카이스트 스탠포드대
정승원 고려대  

 

▶ 고려대 반도체시스템공학과

고려대 반도체시스템공학과는 SK하이닉스와 협력해 2009년부터 신입생을 받았습니다. 신소재공학, 전기전자공학, 기스템 및 소프트웨어공학의 반도체 분야가 융합된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교육과정 중 입학금, 수업료, 학비보조금을 지급받을 수 있다. 더불어 졸업 후 SK하이닉스 취업이 보장됩니다.

 

  학사 석사 박사
김상식 고려대 컬럼비아대
김선욱 고려대 오하이오 주립대 퍼듀대
김용신 고려대 캘리포니아대
김웅 고려대 스탠포드대
김철우 고려대   일리노이대
박종선 고려대 퍼듀대
유현용 고려대 스탠포드대
이인환 고려대
임상호 카이스트 뉴캐슬대
정성우 서울대
곽노정 고려대

 

▶ 반도체 관련학과 전망

한국에서 시가총액이 가장 큰 기업은 삼성전자다. 삼성전자는 반도체,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등 다양한 업종을 포괄하고 있다. 시가총액 순위 3위인 SK하이닉스 역시 반도체 기업이다. 이처럼 반도체는 산업의 쌀로 불리며 전자제품을 비롯한 자동차, 선박, 비행기 등에 널리 쓰인다.

 

하지만 반도체 전문인력은 턱없이 부족하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사내대학을 운영하고 여러 대학과 계약학과를 설립해 인력을 확보하고 있다. 등록금, 생활비 등을 지원하고 졸업과 동시에 취업을 보장하지만 석사, 박사급 인력은 매년 수백 명 부족하다는 분석이 있다.

 

앞으로도 반도체는 국가의 주요 사업이 될 것이다. 따라서 반도체 관련학과를 졸업한다면 대기업 취업, 고연봉이 보장된다. 다만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등 SKY로 불리는 대학의 학생들은 같은 성적이면 반도체 관련 학과보다 지방 대학의 의예과에 진학하려 한다.

 

이렇게 고연봉 취업처가 보장되는데도 인력 부족 현상은 앞으로도 계속 될 것으로 보인다. 본인의 의지만 있다면 대학, 대학원 모두 장학금을 받고 다닐 수 있고 졸업 후 취업도 할 수 있다.

 

 

서울대 반도체 전공 알아보기│취업 잘 되는 학과│교수 학력 정리

서울대학교 연합전공 인공지능반도체공학과는 여러 학과 간 연계를 통해 운영되고 있다. 전기·정보공학부, 기계항공공학부, 원자핵공학과, 재료공학부, 컴퓨터공학부, 화학생물공학부, 물리천

education9.tistory.com

반응형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