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위 | 학과 | 취업률 |
56위 | 통계 전공 | 0% |
55위 | 영어교육과 | 38.6% |
54위 | 유아교육과 | 39.3% |
53위 | 화학과 | 41.2% |
52위 | 체육교육과 | 44.1% |
51위 | 독일어문학 전공 | 45% |
중앙대학교에서 취업률 순위가 가장 낮은 학과는 통계 전공이다. 통계 전공은 취업률 0%인데, 졸업생이 단 2명밖에 안되어 유의미한 수치는 아니다. 그 위로 영어교육과 38.6%, 유아교육과 39.3%, 화학과 41.2%, 체육교육과 45%, 독일어문학 전공 45% 순이다.
취업률 순위 하위권 학과는 주로 사범계열이다. 영어, 유아, 체육 등 교육 관련 학과가 다수를 차지한다. 최근 임용시험의 규모가 작아졌고, 코로나19로 인한 학원 등의 강사 수요도 얼어붙은 게 원인으로 보인다.
순위 | 학과 | 취업률 |
50위 | 교육학과 | 50% |
49위 | 아동복지 전공 | 50% |
48위 | 일본어문학 전공 | 50% |
47위 | 수학과 | 50% |
46위 | 도시시스템공학 전공 | 53.3% |
45위 | 국어국문학과 | 54.1% |
44위 | 사회학과 | 54.2% |
43위 | 문헌정보학과 | 54.3% |
42위 | 역사학과 | 54.8% |
41위 | 공공인재학부 | 57.1% |
중앙대 취업률 순위 50위는 교육학과다. 교육학과는 총 24명의 졸업생 중 50%가 취업이 되었다. 그 위로 아동복지 전공 50%, 일본어문학 전공 50%, 수학과 50%, 도시시스템공학 저공 43.3%, 국어국문학과 54.1%, 사회학과 54.2%, 문헌정보학과 54.3%, 역사학과 54.8%, 공공인재학부 57.1% 순이다.
취업률 순위 50~41위권에는 인문계열 학과가 다수를 차지한다. 취업률은 50~57% 사이로, 졸업생 중 절반 정도만 취업이 되었다.
순위 | 학과 | 취업률 |
40위 | 철학과 | 57.6% |
39위 | 사회복지학부 | 59.3% |
38위 | 영어영문학과 | 60.4% |
37위 | 에너지시스템공학부 | 60.5% |
36위 | 화학신소재공학부 | 60.8% |
35위 | 심리학과 | 61.1% |
34위 | 생명과학과 | 61.9% |
33위 | 러시아어문학 전공 | 64.7% |
32위 | 물리학과 | 64.7% |
31위 | 중국어문학 전공 | 65.2% |
중앙대 취업률 순위 40위는 철학과다. 철학과는 38명의 학생 중 57.6%가 취업을 했다. 그 위로 사회복지학부 59,3%, 영어영문학과 60.4%, 에너지시스템공학부 60.5%, 화학신소재공학부 60.8%, 심리학과 61.1%, 생명과학과 61.9%, 러시아어문학 전공 64.7%, 물리학과 64.7%, 중국어문학 전공 65.2% 순이다.
취업률 순위 40~31위권은 60% 안팎의 취업률을 보여준다. 에너지시스템공학부와 화학신소재공학부, 물리학과처럼 이과계열도 있고, 중국어, 러시아어, 영어 등 어문학 계열도 위치해 있다.
순위 | 학과 | 취업률 |
30위 | 기계공학부 | 66.9% |
29위 | 건축학 전공 | 68.2% |
28위 | 프랑스어문학 전공 | 69.8% |
27위 | 영화 전공 | 69.2% |
26위 | 공간연출 전공 | 70% |
25위 | 간호학과 | 70.9% |
24위 | 산업보안학과 | 71.4% |
23위 | 정치국제학과 | 72.5% |
22위 | 경제학부 | 73% |
21위 | 연극 전공 | 75.7% |
중앙대 취업률 순위 30위는 기계공학부다. 기계공학부는 졸업생 180명 중 66.9%가 취업이 되었다. 그 위로 건축학 전공 68.2%, 프랑스어문학 전공 69.8%, 영화 전공 69.2%, 공간연출 전공 70%, 간호학과 70.9%, 산업보안학과 71.4%, 정치국제학과 72.5%, 경제학부 73%, 연극 전공 75.7% 순이다.
취업률 순위 중위권에는 영화, 연극, 공간연출 등의 예체능 관련 학과와 기계공학부, 건축학 등의 이과계열이 눈에 띈다.
순위 | 학과 | 취업률 |
20위 | 건축공학 전공 | 75.8% |
19위 | 전자전기공학부 | 76% |
18위 | 경영학 전공 | 76.4% |
17위 |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 78.1% |
16위 | 도시계획부동산학과 | 78.3% |
15위 | 광고홍보학과 | 78.7% |
14위 | 응용통계학과 | 79.4% |
13위 | 건설환경플랜트공학 전공 | 79.6% |
12위 | 소프트웨어 전공 | 80% |
11위 | 컴퓨터공학 전공 | 80.3% |
중앙대 취업률 순위 20위는 건축공학 전공이다. 건축공학 전공은 39명의 졸업생 중 75.8%가 취업을 했다. 그 위로 전자전기공학부 76%, 경영학 전공 76.4%,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78.1%, 도시계획부동산학과 78.3%, 광고홍보학과 78.7%, 응용통계학과 79.4%, 건설환경플랜트공학 전공 79.6%, 소프트웨어 전공 80%, 컴퓨터공학 전공 80.3% 순이다.
취업률 순위 중상위권을 보면 공학 등 이과계열이 압도적이다. 컴퓨터, 소프트웨어, 전자전기공학부를 비롯해 건축, 경영, 부동산, 통계, 건설 관련 학과들이 위치해 있다.
순위 | 학과 | 취업률 |
10위 | 국제물류학과 | 80.4% |
9위 | 사회복지학부 청소년 전공 | 83.3% |
8위 | 융합공학부 | 83.9% |
7위 | 글로벌금융 전공 | 87.1% |
6위 | 지식경영학부 | 89.3% |
5위 | 약학부 | 91% |
4위 | 의학 | 96.3% |
3위 | 법학과 | 100% |
2위 | 가족복지 전공 | 100% |
1위 | 비교민속학 전공 | 100% |
중앙대 취업률 순위 10위는 국제물류학과다. 국제물류학과는 68명의 졸업생 중 80.4%가 취업을 했다. 그 위로 사회복지학부 청소년 전공 83.3%, 융합공학부 83.9%, 글로벌금융 전공 87.1%, 지식경영학부 89.3%, 약학부 91%, 의학 96.3%, 법학과 100%, 가족복지 전공 100%, 비교민속학 전공 100% 순이다.
취업률 순위 상위권에는 취업률 100%를 기록한 학과가 3개나 있다. 하지만 졸업생을 보면 비교민속학 전공 3명, 가족복지 전공 2명, 법학과 3명으로 취업률 100%가 유의미한 통계라 보기 어렵다.
따라서 실질적인 취업률 순위 1위는 87명의 졸업생 중 96.3%가 취업 한 의학과다. 또 약학부는 125명의 졸업생 중 91%가 취업을 해 2위를 기록했다. 의학과 약학 계열은 입학 점수가 높고, 그만큼 취업률도 높게 나타나는 학과다. 또 지식경영학부는 226명의 졸업생 중 89.3%가 취업을 해, 졸업생 대비 취업률이 높은 학과로 나타났다.
중앙대 출신인물 |
중앙대 출신 정치인으로는 권성동 국회의원, 김을동 국회의원, 김판석 UN 국제공무위원회위원, 서청원 국회의원,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 등이 있다. 경제 관련 인물로는 김교현 롯데케미칼 대표이사 사장, 김충호 전 현대자동차 대표이사, 윤석만 전 포스코건설 회장, 이광성 두산 사장, 한은섭 삼정회계법인 대표 등이 있다.
중앙대 출신 교육인으로는 김준우 EBSi 강사, 박범훈 전 중앙대학교 총장, 송석언 제주대학교 총장, 임해전 전 군산대학교 총장, 허연숙 고려대학교 교수 등이 있다. 연예인은 연극영화과 출신들이 다수 있는데 고소영, 고아라, 김래원, 김희선, 박중훈 등이 있다.
중앙대 등록금·장학금 |
중앙대 등록금은 인문계열 681만원, 자연계열 848만원, 예체능 888만원, 공학계열 903만원, 의학계열 1천 99만원이다. 인문계열이 가장 적고, 의학계열이 가장 높은 등록금을 낸다. 이를 학기로 보면 인문 약 340만원, 약 424만원, 예체능 약 444만원, 공학계열 약 450만원, 의학계열 약 550만원이다. 장학금은 1인당 평균 304만원이다.
중앙대 기숙사(생활관) 비용 |
중앙대학교(서울캠퍼스) 기숙사(생활관)는 블루미르홀 308관·309관, 퓨처하우스, 글로벌하우스 등이 있다. 블루미르홀 308관은 남자 2인실(168)+여자 2인실(182)=총 700명(남 336│여 364) 규모다. 장애인실(2인실)도 남자 3실, 여자 2실이 있다. 4인실은 남자 21개, 여자 26개로 총 188명(남자 84│여자 104)을 수용할 수 있다.
블루미르홀 309관은 2인실만 있다. 남자 2인실 총 315개, 여자 2인실은 394개가 있다. 수용인원은 남자 630명, 여자 788명으로 총 1,418명이 거주할 수 있다. 장애인실(2인실)은 남자 3개, 여자 4개가 있다.
퓨처하우스는 2인실 남자 38개, 여자 41개로 총 158명을 수용할 수 있다. 장애인실은 여자 1실이 있다. 글로벌하우스는 남자 2인실 20개, 여자 2인실 30개로 총 100명 규모다. 1인실은 남자 2개, 여자 3개가 있다.
기숙사 비용(16주 기준)은 2인실 1,298,000원, 4인실 1,298,000원이다. 식비는 월 15식×4개월=186,000원, 월 25식×4개월=30만원, 월 35식×4개월=406,000원이다. 선발기준은 거리가 우선이 된다. 1순위는 서울캠퍼스 기준 반경 20km 이외 지역 거주자, 2순위는 20km 이내 지역 거주자다. 또 성적과 특별사유대상자 등이 고려되어 최종 입사자가 결정된다.
'대학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공회대 취업률 높은 학과 순위 (0) | 2022.01.23 |
---|---|
대학이 우리에게 주는건 뭐지? (0) | 2022.01.22 |
덕성여대 취업률 순위 보기(학과별) (0) | 2022.01.17 |
동덕여대 학과별 취업률 순위 (1) | 2022.01.14 |
삼육대 학과별 취업률 순위 (0) | 2022.0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