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육아 / / 2022. 3. 24. 01:19

출산 후 30일간 신생아 돌보기&재우기 꿀팁

반응형

▶ 신생아 돌보는 팁

 

1. 도움을 두려워하지 마세요.

 

아이를 잘 기르기 위해서는, 경험 많은 사람과의 대화가 중요합니다. 아기를 기른 경험이 있는 어머니, 친구는 물론 의사와의 상담을 통해 필요한 정보를 모으세요. 무언가 모르는 게 있으면, 무턱대고 도전하기보다 최대한 안전하고 효율적인 방법을 선택해야 합니다. 당신의 아이는 소중하니까요.

 

2. 병원을 최대한 활용하세요.

 

아이를 출산하고 병원에 입원해 있는 기간 동안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습니다. 산부인과에는 간호사들에게 아이를 잘 케어하는 방법을 배우면 좋습니다. 또 수유 상담사를 찾아 모유를 먹이는 방법을 배우고, 함께 모유 수유하는 시간을 가지며 코칭을 받는 게 좋습니다. 

 

3. 마음가짐을 단단히 하세요.

 

아이를 재우고 수유를 하는건 많은 인내와 시간이 필요합니다. 단시간에 끝내기 위해 열을 내기보다, 천천히 차분한 마음가짐으로 아이를 대해야 합니다. 서둘러서 좋을 건 하나도 없습니다. 아이를 재우거나 수유하기 전에 물 한잔을 떠다 놓고, 화장실도 미리 다녀오도록 합시다. 

 

4. 수유할 때 통증이 있으면 온찜질을 하세요.

 

온열 패드나 따뜻하고 젖은 수건으로 찜질을 하면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유관이 막힌 경우 따뜻한 찜질을 하면 풀어질 수 있습니다. 매번 뜨거운 물을 받아 수건을 빨지 말고, 전자레인지에 데워서 사용하면 훨씬 편리합니다. 

 

5. 수유 후 가슴이 아프면 냉찜질을 하세요.

 

온찜질은 모유 수유에 효과적이지만, 수유 후 가슴이 아플 수 있습니다. 찌릿하고 저린 통증이 느껴진다면, 온찜질 보다 냉찜질을 하는 게 훨씬 효과적입니다. 

 

6. 젖병을 물리려면 시간을 갖고 인내하세요.

 

아기가 젖병을 물리려면, 모유 수유 후 3개월 이내에 해야합니다. 전문가들은 6~8주를 권합니다. 모유 수유 후 한 달 정도가 지나면 서서히 젖병 물리는 연습을 시키면서 아이가 익숙해지는데 충분한 시간을 주어야 합니다. 


▶ 재우기

 

신생아는 먹는 시간을 빼면 대부분의 시간을 잠으로 채웁니다. 하루 최대 16시간의 수면을 취하지만, 몰아자는게 아니기 때문에 끊임없이 아이를 지켜봐야 합니다. 잠을 끊어 자는 아이 때문에 부모는 수면 시간이 부족하고, 더 지칠 수 있습니다.

 

7. 피곤하다고 서두르지 마세요.

 

당신은 밤 새 잠을 설쳐 피곤하기 때문에 화를 내기 쉬운 상황입니다. 하지만 어찌되었든 아이를 돌보는 게 당신의 목표입니다. 그러니 피곤하다가 아이에게 짜증을 내거나 험한 말을 내뱉을 수 있습니다. 아이는 부모를 보고 배웁니다. 항상 주의하세요.

 

 

8. 교대근무를 하세요.

 

아이는 엄마 혼자 돌보는게 아닙니다. 밤 새 아이의 잠투정을 받아주었다면, 이제는 아빠의 차례입니다. 엄마와 아빠가 순번을 정하고, 서로 힘들 때 돌아가며 아이를 케어해 주세요. 아이는 엄마는 물론 아빠와의 교감도 기다리고 있습니다. 

 

9. 아이의 컨디션 스케쥴에 맞추세요.

 

아이가 잘 때 자고, 아이가 먹을 때 같이 먹고, 아이가 쉴 때 쉬세요. 당연히 불편하고 힘들겠지만 최대한 아이의 스케줄이 당신이 맞춰야 합니다. 아이와 함께 낮잠을 자고, 밤에는 일찍 잠자리에 드는 게 최고입니다.

 

10. 아이를 재우기 위해 모든걸 하세요.

 

아이가 잠투정을 한다면 가슴에 안아 재우세요. 아직은 신생아이기 때문에 나쁜 습관에 대해 걱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아이의 잠은 생존과 직결된 문제입니다. 

 

▶ 달래기

 

11. 까다로운 아이 상대하기

 

잠투정을 하고 까다롭게 구는 신생아를 달래는 좋은 방법은 안아주는 것입니다. 최대한 엄마의 뱃속에 있었을 때와 비슷한 환경을 만들어주세요. 당신의 아이는 세상 밖에 나온 지 얼마 되지 않아 적응의 시간이 필요합니다. 

 

12. 음악을 이용하세요.

 

음악이 아이의 두뇌 발달에 좋다고도 말합니다만, 중요한건 아이를 달래는 것입니다. 아이가 칭얼거리고 투정을 부릴 때 잔잔하면서도 평온한 음악을 틀어주세요. 처음에는 별 효과가 없겠지만, 익숙해지면 아이가 음악을 알아듣고 투정을 멈출 것입니다.

 

13. 따뜻함을 유지시켜 주세요.

 

아이의 기저귀를 자주 교체하면 우울증을 유발한다는 연구도 있습니다. 아이가 체온을 따뜻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해주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 물 보온용을 이용해 따뜻한 물티슈를 따뜻하게 만든 후, 아이에게 사용하면 효과적입니다. 

 

14. 재미있는 장난을 하세요.

 

아이와 교감할 수 있는 장난으로 기분을 좋게 만들어 주세요. 아이의 손가락을 가볍게 문다던지, 다리를 장난스럽게 구부리며 놀아주세요. 가벼운 몸동작으로 아이의 기분을 좋게 만들고, 부모와 교감할 수 있어 더 행복해합니다.

 

15. 따뜻한 물에 몸을 담가주세요.

 

엄마의 뱃속에 있던 열 달 동안 아이는 가장 안정적인 환경에서 부모를 기다려 왔습니다. 세상에 나온 지 얼마 안 된 지금 아이는 예전의 환경을 그리워할지도 모릅니다. 아이의 긴장을 풀어주기 위해 따뜻한 물로 목욕을 시켜주면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교복입은 학생들이 사라지고 있다│현실로 다가온 인구절벽

교복 입은 학생들이 사라지고 있다. 인구절벽 시대에 드러 선 것이다. 불과 10년 전만 해도 우르르 몰려다니며 거리의 활기를 불어넣던 고등학생들을 보기 힘들어졌다. 코로나 때문에 외부활동

education9.tistory.com

 

반응형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